목록독후감 (67)
[림이적다]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우려먹기. 기시미 이치로의 삶과 죽음(2021) - 왓챠피디아 인생은 진화가 아니라 변화다! 젊음과 늙음, 건강과 질병에 우열은 없다. 기시미 이치로의 일본 NHK 최신 강의 의 현장을 그대로 담았다. 나이 듦, 질병, 죽음. 우리에게 예 pedia.watcha.com 요약 나이 듦, 질병, 죽음에 마주하는 여섯 번의 철학 강의를 요약한 책으로 기존의 아들러의 이론을 다시한번 소개해주고 있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부터 목적론, 열등감, 우월성 의식 등의 개념을 설명해주고 타인공헌과 라이프스타일의 이론으로 자신과 사회에 대한 사람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메모 - 인간의 행위는 가치 판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인간은 행위에 앞서 ‘목적’ 또는 ‘목표’를 세웁니다. 이 말은 인간..

육줄요약 첫째, 공동체 vs 자유 둘째, 공리주의, 롤스의 정의론을 모두 반대하는 입장이 센델 셋째.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나, 그건 계량적 접근이 아니라 소수에게 집중되는 헤택을 막고 서민의 행복을 증진하는 쪽으로 가자는 의미 → 이때 소수 즉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현상이 발생 넷째. 롤스는 현대 복지주의의 이론을 확립한 학자 : 무지의 장막, 즉 한 개인이 사회에서 어떤 위치, 지위의 인물물이 될 지 모르니 서로 최소의 합의점을 찾아 세금을 걷어 분배의 차등이란 평등 요소를 합의 (사회계약) 다섯. 센델은 공동체 vs 개인과 자유 vs 평등의 중간에 위치한 입장 . 여섯, 센델의 주장 '정의는 올바른 분배만의 문제가 아니라 올바른 가치치 측정의 문제이기도 하다' → 공론화 과정 필요 →..
일반적으로 친노는 노무현을 지지하고 계승하는 집단을 말한다. 노무현의 정치적 입지가 그랬듯이 이들은 소수자였고, 약자였고, 피해자였다. 지금에 와서 친노는 그런 단순한 지지세력이 아니라 정치인을 비롯한 언론, 경제, 문화계에 리딩 그룹이 있고 이권을 중심으로 이들을 후원하거나 지원하는 적극적인 행동그룹이 있다. 우리 사회를 저해하는 이들의 병폐를 고발하여 친노라 불리는 일반 시민들을 분리하고자 하는 분석들과 시도는 여러번 있어 왔다. 강준만의 민주당 분당 사태를 중심으로 한 종교화하는 정치 행태와 김욱의 영남패권주의를 고발한 지역주의 등이 두드러진다. 디지털 포렌식의 대가로 알려진 김인성 교수가 쓴 이 책은 구체적인 인사평을 통한 고발을 시도한다. 친노의 상징적인 인물인 유시민의 개인의 도덕성과 부당함을..

수부타이, 우연히 페이스북 탐라에서 알게된 이름이다. 칭기즈칸의 몽골제국 형성에 가장 큰 공을 세운 장군이라고 한다. TIME지 선정 인류 최고의 장수 1위에 랭크되기도 했단다. 얄팍한 마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카이사르, 나폴레옹, 알렉산드르, 한니발, 스키피오 등 서양의 인물들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읽었던 터라 수부타이가 정복전쟁에서 보인 전략과 전술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책을 읽고나니 제목에 특정된 수부타이의 개인사와 업적을 기대한 것과 달리 칭기즈칸과 거의 겹치고 대부분 몽골제국의 정복사를 정리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미국 군사교본으로 쓰일 목적에 따라 몽골군대의 현대적 접목, 즉 전략과 전술의 체계화, 그 능력을 배양할 군인의 교육, 그리고 근대 러시아 군대의 몽골군사의 계승한 사례를 연..
인류 역사상 의학, 약학 분야가 과학이란 이름 하에 최고로 발전했다고 평가되고 있는 것이 현대사회다. 물론 맞는 말이지만 동시에 잘못된 말이기도 하다. 위생, 영양, 전쟁, 기근 등을 빼고나면 인류 역사상 가장 허약한 몸과 병을 가지게 된 세대일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먹는 것 부터 병의 결과만 치료하는 대증요법, 면역보다는 바이러스나 세균을 회피하거나 죽이는 방식의 치료, 그리고 제약회사와 의료계로 일컬어지는 자본일 수도 있다. 건강의 개념이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활력이 있는 상태로 변화되고 있다. 여러번 말했지만 유병장수가 원래 우리가 받아들여하는 숙명이 아닌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확한 원인은 모르더라고 이를 관통하는 사고는 인간은 나약하고 운동부족이나 비만같이 의지가 박약한 존재이며 세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