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노무현 (27)
[림이적다]
어제 보도된 MBC의 여론조사에 보면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 대해 대부분의 여론이 외부적 요인이 크다고 생각하며, 그 중에서는 이명박, 검찰 그리고 언론에 대해 그 책임을 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 투신에 대해 '본인 책임이 크다'는 의견은 36.6%, 외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은 60.8%였다. 외부의 압박이 주된 요인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을 상대로 누구 책임이 가장 크냐고 물은 결과, 이 대통령을 지목한 응답은 39%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검찰 27.0%, 언론 21.0% 순이었다. 복수응답에는 검찰 64.0%, 이명박 대통령 55.0%, 언론 45.0% 순으로 나타났다. 사실 정부가 원인을 제공하고, 검찰은 수사를 중계하고 언론은 또한 그걸 받아서 널리 퍼트린 부분..
작년에 기록 사본 문제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직접 보냈던 공개 서한이다. 다시 읽어보니, 이번 검찰 수사에 대한 소회도 이때와 같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명박 대통령님, 기록 사본은 돌려드리겠습니다. 사리를 가지고 다투어 보고 싶었습니다. 법리를 가지고 다투어 볼 여지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열람권을 보장 받기 위하여 협상이라도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버티었습니다. 모두 나의 지시로 비롯된 일이니 설사 법적 절차에 들어가더라도 내가 감당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미 퇴직한 비서관, 행정관 7-8명을 고발하겠다고 하는 마당이니 내가 어떻게 더 버티겠습니까? 내 지시를 따랐던, 힘없는 사람들이 어떤 고초를 당할지 알 수 없는 마당이니 더 버틸 수가 없습니다. 이..
가까운 사람, 존경하고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앞에선 슬픔과 안타까움이 해량할 수 없을 만큼 크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죽음을 받아들이기가 힘들뿐더러, 몇날이 지나도록 그 죽음을 실감할 수가 없다. 노무현 전대통령께서 서거하신 후 많은 국민들이 슬픔과 안타까움 그리고 분노에 쌓여있다.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는 커녕, 모든 가족을 줄소환하고 거의 모든 측근들이 구속되거나 조사를 받고 게다가 확인되지도 않은 사실들을 연일 언론에 흘리고, 전직 대통령을 소환하고도 수사의 마무리는 커녕 수수방관하면서 수사를 계속 진행하는 작태는 고인의 죽음에 대한 비통함을 더하게 한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힘든 안타까움과 비통함은 결국 자기 위한의 기제로 죽음을 어떠한 대상화로 회피하게 된다. 이를테면 일..
아직도 노무현 전대통령의 서거 소식은 충격과 황망함보다도 실감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 지금 심정의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고인의 죽음에 대해 어떤 견해를 내어놓는다는 것 역시도 그러하다. 다만 정치인 노무현과 개인 노무현을 모두 놓고 생각해봐도 그 분리가 딱 떨어지지 않는 것처럼 고인의 죽음의 의미도 그러할 것이다. 일찌기 대통령 재임시절에 탄핵을 당해 헌재의 판결이 있기 전까지 시간동안, 대통령 노무현은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었다고 했다. 이순신 장군이 남긴 글이 있다. 必死卽生 必生卽死 (필사즉생 필생즉사) "죽기를 각오하면 살 것이요 요행히 살려고 하면 죽을 것이다" 재임시절 부터도 대통령 직을 걸고, 재신임 등을 밝힌 적이 있었다. 나는 그것이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진심이었다고 생각한다. 정치인..
오늘의 사설은 4대강 살리기에 대한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4대강 살리기의 의의와 그 도입과정에 대해서 같은 사실을 두고 결국 위장용 대운하 사업이라고 의심하는 쪽과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갈린다. 사실 그것이 사실이다 아니다를 따지는 것보단 옹호하는 쪽이나 반대하는 쪽이나 그 사업이 되고 나서의 경제적, 환경적 효과에 대해 해석을 달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4대강 살리기', 각 지역 특성 살린 하천 모습 만들어야 출처: news.chosun.com [보기]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구체적인 하천개발 방식에 대해 " 홍수 대비를 위해 강바닥 준설을 하되 포클레인으로 파내는 식이 아니라 수질에 영향이 없도록 진공흡입 방식으로 해야 한다." 라며 조언하고 있다. 진공흡입 방식이란 게 뭔가? 전문가 몇몇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