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설 (28)
[림이적다]
어제 보도된 MBC의 여론조사에 보면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 대해 대부분의 여론이 외부적 요인이 크다고 생각하며, 그 중에서는 이명박, 검찰 그리고 언론에 대해 그 책임을 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 투신에 대해 '본인 책임이 크다'는 의견은 36.6%, 외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은 60.8%였다. 외부의 압박이 주된 요인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을 상대로 누구 책임이 가장 크냐고 물은 결과, 이 대통령을 지목한 응답은 39%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검찰 27.0%, 언론 21.0% 순이었다. 복수응답에는 검찰 64.0%, 이명박 대통령 55.0%, 언론 45.0% 순으로 나타났다. 사실 정부가 원인을 제공하고, 검찰은 수사를 중계하고 언론은 또한 그걸 받아서 널리 퍼트린 부분..
이번에 적발된 주지훈으로 불거진 마약사태에 대해 사회각층 그리고 언론에서는 우려가 크다. 청소년에 대해 영향력이 크고, 또한 한류로 인해 해외에서 인기를 감안할 때 국가문화 이미지에도 안좋기 때문이다. 이제는 연예인이 공인이냐, 아니냐는 논란거리도 되지 않는 것 같다. 그만큼 국민적 관심과 영향력이 인정받는 것이고, 그들이 공인으로 인정받기때문에 자신의 행동과 가치관 또한 대중에 대한 책임감을 분명 지녀야 한다고 주문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자 중앙일보 사설을 보자. [사설] 연예인도 공인이다 [중앙일보]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연예인 일반에 대한 책임의식에 대해 자신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한 자부심과 자기 절제, 최소한의 ‘공인’ 의식이 있었다면 마약 따위는 꿈조차 꾸지 말았어야 했다."며 좀더 공고해야 한..
오늘의 사설은 4대강 살리기에 대한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4대강 살리기의 의의와 그 도입과정에 대해서 같은 사실을 두고 결국 위장용 대운하 사업이라고 의심하는 쪽과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갈린다. 사실 그것이 사실이다 아니다를 따지는 것보단 옹호하는 쪽이나 반대하는 쪽이나 그 사업이 되고 나서의 경제적, 환경적 효과에 대해 해석을 달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4대강 살리기', 각 지역 특성 살린 하천 모습 만들어야 출처: news.chosun.com [보기]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구체적인 하천개발 방식에 대해 " 홍수 대비를 위해 강바닥 준설을 하되 포클레인으로 파내는 식이 아니라 수질에 영향이 없도록 진공흡입 방식으로 해야 한다." 라며 조언하고 있다. 진공흡입 방식이란 게 뭔가? 전문가 몇몇을 ..
오늘자 사설은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 당선에 대한 문제로 첨예한 대립 양상이다. 선거 과정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평가도 다르다. 역시나 조중동과 한겨레, 경향의 시각이 다르지만, 더 재미있는 것은 지난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선거때와 정반대로 논리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오늘 사설을 보면 조선일보는 역시 그들 중의 대빵이라는 점을 다시한번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사설의 마지막 문단을 보시라. 그 협박성 어투에 그야말로 손발이 오그라든다. [조선] '4.9% 지지' '14개월 임기'의 새 경기교육감 출처: news.chosun.com [보기] 언제부터 조선이 정통성을 그렇게 따졌나. 조선은 이번 경기도 교육감 사태(?)를 선발절차에서부터 깎아내리기를 하고 있다. 낮은 투표율과 보수진영의..
정국이 노무현 전대통령의 후견이라 불리웠던 박연차 회장의 로비로 어수선하다. 이 사건은 여러가지로 실망스러운 점은 물론 의혹투성이다. 그러나 더 나은 정권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을 주는 면도 있다. 우선 도덕성을 내세운 노무현 정권 역시도 돈에 자유롭지 못했다는 것과 그 정권의 정체에 대한 생각을 환기시켜준다고 생각한다. 사실 지난 대선자금 수사 때 " 한나라당의 1/10 이상을 받았다면, 대통령직을 버리겠다"고 공언한 때부터 내재된 모순이 아니었을까. 어쩌면 한나라당 보다는 덜 부패되었다는 것이 지난 정권의 장점과 정체성이 아니었나 싶다. 이 정권의 대재벌 정책이나, 대서민 정책도 한나라당 보다는 조금 더 개혁적이었다는 것일 뿐이었다. 결국 그 나물에 그 밥이니 규모나 정도의 차이였던 것이니, 지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