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설 (28)
[림이적다]
어제 보도된 MBC의 여론조사에 보면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 대해 대부분의 여론이 외부적 요인이 크다고 생각하며, 그 중에서는 이명박, 검찰 그리고 언론에 대해 그 책임을 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 투신에 대해 '본인 책임이 크다'는 의견은 36.6%, 외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은 60.8%였다. 외부의 압박이 주된 요인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을 상대로 누구 책임이 가장 크냐고 물은 결과, 이 대통령을 지목한 응답은 39%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검찰 27.0%, 언론 21.0% 순이었다. 복수응답에는 검찰 64.0%, 이명박 대통령 55.0%, 언론 45.0% 순으로 나타났다. 사실 정부가 원인을 제공하고, 검찰은 수사를 중계하고 언론은 또한 그걸 받아서 널리 퍼트린 부분..
이번에 적발된 주지훈으로 불거진 마약사태에 대해 사회각층 그리고 언론에서는 우려가 크다. 청소년에 대해 영향력이 크고, 또한 한류로 인해 해외에서 인기를 감안할 때 국가문화 이미지에도 안좋기 때문이다. 이제는 연예인이 공인이냐, 아니냐는 논란거리도 되지 않는 것 같다. 그만큼 국민적 관심과 영향력이 인정받는 것이고, 그들이 공인으로 인정받기때문에 자신의 행동과 가치관 또한 대중에 대한 책임감을 분명 지녀야 한다고 주문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자 중앙일보 사설을 보자. [사설] 연예인도 공인이다 [중앙일보]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연예인 일반에 대한 책임의식에 대해 자신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한 자부심과 자기 절제, 최소한의 ‘공인’ 의식이 있었다면 마약 따위는 꿈조차 꾸지 말았어야 했다."며 좀더 공고해야 한..
오늘의 사설은 4대강 살리기에 대한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4대강 살리기의 의의와 그 도입과정에 대해서 같은 사실을 두고 결국 위장용 대운하 사업이라고 의심하는 쪽과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갈린다. 사실 그것이 사실이다 아니다를 따지는 것보단 옹호하는 쪽이나 반대하는 쪽이나 그 사업이 되고 나서의 경제적, 환경적 효과에 대해 해석을 달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4대강 살리기', 각 지역 특성 살린 하천 모습 만들어야 출처: news.chosun.com [보기]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구체적인 하천개발 방식에 대해 " 홍수 대비를 위해 강바닥 준설을 하되 포클레인으로 파내는 식이 아니라 수질에 영향이 없도록 진공흡입 방식으로 해야 한다." 라며 조언하고 있다. 진공흡입 방식이란 게 뭔가? 전문가 몇몇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