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선일보 (18)
[림이적다]
어제 보도된 MBC의 여론조사에 보면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 대해 대부분의 여론이 외부적 요인이 크다고 생각하며, 그 중에서는 이명박, 검찰 그리고 언론에 대해 그 책임을 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 투신에 대해 '본인 책임이 크다'는 의견은 36.6%, 외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은 60.8%였다. 외부의 압박이 주된 요인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을 상대로 누구 책임이 가장 크냐고 물은 결과, 이 대통령을 지목한 응답은 39%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검찰 27.0%, 언론 21.0% 순이었다. 복수응답에는 검찰 64.0%, 이명박 대통령 55.0%, 언론 45.0% 순으로 나타났다. 사실 정부가 원인을 제공하고, 검찰은 수사를 중계하고 언론은 또한 그걸 받아서 널리 퍼트린 부분..
[중앙] 검찰 포토라인에 서게 된 노무현 출처: news.joins.com [보기] 30일로 예정된 노무현 전대통령의 검찰소환에 있어 중앙일보는 법적, 도덕적 그리고 역사적 잣대를 모두 동원해 정상참작의 여지를 모두 봉쇄하고 있다. 게다가 지지자는 물론 반대자의 경우에도 인정했던 노 전대통령의 도덕적 위세가 결국 '배신'이었다는 감정적 영역까지 전부 다루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자신이 자신을 버리라 하며, 자신이 민주주의에 대해 말할 자격을 잃었다고 얘기했던 것이 떠오른다. 물론 이번 사건도 그간의 사정이 있겠지만, 집권 후 대북송금특검, 대연정, 한미FTA 등 선의와 정의감이 있기에 추진했던 일들의 연장선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즉 정경유착이나 인사청탁이 아닌 개인 대 개인, 즉 자연인 대 ..
장자연 사건에 대해 조선일보와 한국일보가 사설을 썼다. 한국일보는 수사가 유야무야되는 지경에 대해서 평범하게 경찰에 대한 질타를 했다면, 역시나 혜안과 통찰력(?)이 있는 조선일보는 그것이 김대표와 그의 후원자들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조선일보의 지면을 통해 세상을 보면 언제나 '마징가z' 이다. 나쁜 놈들은 항상 드러나 있다. 그외 한겨레에서 지적한 구글에 대한 방통위의 엄포 역시도 주목할만 하다. 표현의 자유와 국가 브랜드에 대한 지적이 날카롭다. 끝으로 오늘의 사설로 마땅한 것은 서울신문이다. 경제위기 극복과 사회통합 그리고 경제성장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사회임금'의 확대라고 주장한다. 기존의 언론에서 꽁꽁숨겨왔던 복지문제를 수치로 확인하니 더 참담하다. 이 부분이 단순히 분배..
민주당 김상희 의원이 어제 국회에서 공무원 등의 공직사회와 권력 핵심부 청와대, 경찰청 등에 대한 성매매·성희롱 예방 교육을 철저히 시행할 것을 여성부에 요구했다. 특히 김상희 의원은 장자연 사건을 거론하면서 고 장자연씨 사건을 언급하며 “소속사 대표가 자기 소속사에 있는 연예인을 착취해서 자기 이해 관계에 있는 사람한테 성을 상납시킨 권력형 성상납 비리다. 엄청난 권력자인 언론사 임원이 관계됐다”고 지적했다.이어서 김 의원은 "현재 성매매 방지와 관련한 교육은 공무원에게만 강제하고 있는데 언론사에도 성매매 예방교육을 확대해야 하는 것 아닌가" 라고 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조선일보가 홀로 분연히 일어났다. 조선일보의 요지는 언론사에게 이러한 언급을 한 것은 '성폭행적 폭언'이라고 사설에서 규정짓고 분기..
오늘 조선일보 사설은 독한 게 두가지이다. 하나는 북한에 대한 독설이며, 또 하나는 장자연 리스트와 관련된 것이다. 조선일보는 추정을 하지 않는다. 뭔가 사실 아니면 뭔가 믿는 구석이 있을 때 독설을 뿜는다. 이러한 자신감이 진실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주로 특정 계층의 이익, 자신의 이익을 좇기 때문에 문제이고, 게다가 그 독설의 강도와 비약과 인신공격이 문제다. 그래서 왠지 조선일보의 독설과 진지함은 비장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왠지 속으로 쾌재를 부르는 모습만이 연상될 뿐이다. [서울] 자동차 지원책 혼선 정부가 부추기나 출처: seoul.co.kr [보기] 처음에는 단순하게 자동차 시장 부양을 통한 내수진작의 차원인줄 알았는데, 요즘 돌아가는 것을 보면 노조 길들이기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재..